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방법 주의사항 완벽정리

by 시민행정사 2025. 2. 25.
반응형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방법 및 주의사항 완벽 정리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식품 관련 업종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발급받아야 하는 필수 서류입니다. 카페, 식당, 편의점, 제과점 등에서 근무하려는 분들이나 보건증 발급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오늘은 보건증 발급 방법, 비용, 유효기간, 주의사항 등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란?

보건증은 식품위생법 제40조 제1항  및 시행규칙 제49조제1항에 따라 식품업 종사자들이 위생 관련 질병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건강검진 결과서입니다.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식품업 종사자는 영업시작전 미리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여 건강진단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식품위생법 제101조제3항제1호에 따라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보건증이 필요한 대표적인 직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음식점, 휴게 음식점, 카페, 분식점, 패스트푸드점 등 식품을 취급하는 업종

⊙ 제과점, 베이커리, 떡집 등

⊙ 편의점, 마트에서 즉석 조리 음식을 판매하는 경우

⊙ 학교, 병원, 어린이집 급식실 종사자

⊙ 기타 식품 제조·가공·판매업 종사자

 

2.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은 가까운 보건소에서 검사 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에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① 보건소 방문 및 접수

전국 보건소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보건소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방문 전, 해당 보건소의 보건증 검사 가능 여부 및 운영 시간을 확인하세요.

② 건강검진 실시

보건증 발급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습니다.

흉부 X-ray 검사 (결핵 여부 확인)

장티푸스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여부 검사

검사 시간은 약 10~20분 정도 소요됩니다.

③ 검사비용 납부

보건소에서의 보건증 발급 비용은 약 3,000~5,000원이며,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금 또는 카드 결제가 가능하니 방문 전 미리 확인하세요.

④ 보건증 발급 및 수령

검사 후 보건증은 최대 3~7일 이내 발급됩니다.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여 수령하거나, 정부24(www.gov.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 방법: 정부24 로그인 →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검색 → 발급 신청 → 출력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버튼

 

 

e보건소에서 온라인으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발급받기

 

e보건소 발급 바로가기 버튼

3. 보건증 유효기간 및 재발급

① 유효기간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보건증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만료 전에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

② 재발급 방법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거나, 정부24에서 무료로 온라인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기존에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내역이 있어야만 온라인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4. 보건증 발급 시 주의사항

신분증 지참 필수: 보건증 발급을 위해서는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이 필요합니다.

보건소 운영시간 확인: 일부 보건소는 보건증 검사가 특정 요일에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공휴일 및 주말은 검사 불가: 대부분의 보건소는 평일에만 운영되므로 미리 확인하세요.

임산부는 흉부 X-ray 검사 제외: 임산부는 X-ray 검사를 받을 수 없으므로 병원에서 대체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보건증 발급  Q&A

Q1. 병원에서도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하지만 일반 병원의 건강검진 비용은 30,000~50,000원 이상으로 보건소보다 훨씬 비쌉니다.

Q2. 보건증이 꼭 필요한 직업은 무엇인가요?

A. 식품 관련 업종(카페, 식당, 편의점, 급식소 등)에서 근무하는 경우 반드시 필요합니다.

Q3. 보건증 발급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A. 보건소마다 다르지만 평균 3~7일이 소요됩니다.

Q4. 외국인도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Q5. 보건증을 분실하면 어떻게 하나요?

A. 정부24에서 무료로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Q6. 서빙만 하고 음식을 직접 만들지 않는 종업원도 보건증을 받아야 하나요?

A. 네,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 뿐 아니라, 가공, 조리, 저장, 운반 또는 판매하는 등 음식점에서 일하는 사람은 보건증을 받아야 합니다.

마무리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식품 관련 업종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 서류입니다. 가까운 보건소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도 재발급이 가능하니 유효기간을 꼭 확인하세요. 보건증 발급과 관련해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해당 지역 보건소 또는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