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구독 해지·탈퇴·취소, 왜 이렇게 어려울까? 다크패턴 이야기

by 시민행정사 2025. 9. 2.
반응형

다크패턴 함정

구독 해지·탈퇴·취소, 왜 이렇게 어려울까? 다크패턴 이야기

며칠 전 친정에 갔을 때 엄마가 한숨을 쉬며 휴대폰을 내밀었습니다. “무료라고 해서 구독했는데 자동결제가 되고 있어. 이거 어떻게 해지하니?” 알고 보니 엄마는 ‘한 달 무료’라는 문구를 보고 가볍게 눌렀다가, 다음 달부터 자동으로 결제가 이어진 것이었죠. 저도 온라인 쇼핑을 하면서 비슷한 경험을 자주 했습니다. 첫 화면에 보인 가격은 저렴했는데, 결제 단계에서 배송비·설치비 등이 추가되어 최종 금액이 훨씬 비싸졌던 적이 있었거든요. 이렇게 소비자의 부주의와 착각을 이용해 결제·구독을 유도하는 것을 바로 다크패턴(Dark Pattern)이라고 합니다.

 

다크패턴이란?

 

다크패턴은 전자상거래 사업자가 온라인 화면을 설계할 때, 사용자가 알지 못하게 불필요한 결제를 하거나 쉽게 탈퇴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눈속임 상술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다크패턴이 소비자 피해를 키운다고 판단해, 2025년부터 규제를 강화했습니다. 위반한 사업자는 시정조치, 영업정지(최대 1년), 과태료(최대 5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6가지 주요 다크패턴 유형

 

1. 숨은 갱신

  • 무료 체험 후 별도 고지 없이 자동 유료 전환

2. 순차 공개 가격책정

  •  결제 단계에서만 추가 요금 공개

3. 특정 옵션 사전선택

  •  유리한 옵션을 미리 체크해 둠

4. 잘못된 계층구조

  • 버튼 크기·색상으로 선택을 유도

5. 취소·탈퇴 방해

  • 가입은 쉽지만 해지는 어렵게 설계

6. 반복 간섭

  • 팝업·알림 창으로 소비자를 압박

 

일상 속 다크패턴 사례

 

  •  닫기 버튼을 숨겨 광고창 닫기 어렵게 만들기
  •  이메일 구독 해지 버튼을 눈에 띄지 않게 배치
  •  뒤로 가기 눌렀더니 또 다른 광고가 뜨는 경우
  •  광고와 콘텐츠 구분을 모호하게 표시
  •  과도한 알림으로 불완전한 소프트웨어 설치 유도

다크패턴에 당하지 않으려면

 

1. 무료·할인 문구 꼼꼼히 확인하기

  •  ‘첫 달 무료’ 뒤에는 자동결제 조건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최종 결제 금액 확인하기

  • 배송비, 부가세, 설치비 등이 추가되는지 반드시 체크하세요.

3. 옵션과 체크박스 주의하기

  • 사전 선택된 멤버십·구독 옵션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해지 절차 미리 확인하기

  • 가입 전, 취소·탈퇴가 얼마나 간단한 지도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5. 광고·알림 설정 주체적으로 관리하기

  • 7일간 보지 않기’ 같은 기능이 있는지 활용하세요.

다크패턴 대처 및 신고방법

 

혹시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1. 공정거래위원회 1372 소비자상담센터

 전화: 1372

 홈페이지 https://www.ccn.go.kr

2. 방송통신위원회 다크패턴 신고센터

  https://kcc.go.kr에서 온라인 접수 가능 KCC 공식 홈페이지

3. 한국소비자원

  • 피해 구제 신청 및 상담 제공

4. 앱스토어·플랫폼 신고 기능 활용

  • 앱 내 신고하기, 리뷰 작성 등도 사업자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마무리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다크패턴을 만날 기회도 늘어나죠. 하지만 이번 전자상거래법 개정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조금 더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소비자 스스로 경계심을 갖는 것입니다. 작은 주의와 적극적인 신고가 불필요한 지출을 막고, 더 공정한 인터넷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