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분증 민간 앱 발급 시작, 지금 바로 내 스마트폰에서 확인하세요
행정안전부는 2025년 7월 23일부터 모바일 신분증을 민간 앱을 통해서도 발급받을 수 있도록 정식 개방했습니다. 그동안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이나 삼성월렛만 가능했던 신분증 발급이 카카오뱅크, 토스, 네이버, 국민은행, NH농협 앱에서도 가능해졌습니다.
발급가능한 앱과 기종
삼성 스마트폰(One UI 6.1 이상): 위 5개 민간 앱 모두 발급 가능
아이폰 사용자는 토스, 카카오뱅크 앱만 발급 가능 (추후 확대 예정)
이제는 누구나 평소 사용하는 앱에서 손쉽게 신분증을 발급받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어떤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나?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외국인등록증
- 국가보훈등록증
이 신분증들은 모두 해당 법률에 따라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인정받습니다.
관공서, 주류 구입 시 성인 인증, 금융기관 본인 확인 등 모든 오프라인 인증에 사용 가능합니다.
보안은 어떻게 보장되나?
모바일 신분증은 사용자의 단말기에만 저장되며, 외부 서버에는 어떠한 정보도 저장되지 않아 해킹 걱정이 없습니다.
- 지문, 안면인식 등 생체 인증 기능 적용
- 6자리 비밀번호로 접근 제한
- 분실 시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또는 ☎ 1688-0990 통해 즉시 중단 가능
- 삼성은 하드웨어 보안 협약을 통해 최고 수준 보안 확보
온라인 환경에서도 강력한 인증 기능
실물 신분증은 비대면 상황에서 인증이 어렵지만, 모바일 신분증은 안면인식 기반의 인증 기술로 비대면 환경에서도 정확한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특히 금융 사기 및 피싱 예방에 효과적이며, 온라인 계좌 개설, 대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에서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는 디지털 신원 인증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AI 기반 사회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핵심 인프라로 육성할 방침입니다. 민간 앱을 활용한 이번 개방은 보안성과 편의성, 활용성 측면에서 중요한 진일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본인의 스마트폰 앱을 열어 모바일 신분증을 확인해 보세요. 지갑 없이도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표준이 시작되었습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디지털보안정책과(044-205-2751), 금융위원회 은행과(02-2100-2676)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